120페이지 내용 : 118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대 표 지표 정의 고용률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며, 청년고용률은 1529세 청년 인구 중 취업자 비율로 정의한다. 취업자는 ① 조사 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② 자기에게 직접적으로는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자기 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무급 가족종사자 , ③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 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 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를 포함한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설명자료 발췌 청년의 경제활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는 실업률, 고용률, 고용보조지표 등이 있는데, 이 중 고용률은 청년의 고용성과를 직접 보여주는 지표로 청년 일자리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다. 측정 산식 취업 중인 1529세 인구수 ×100 전체 1529세 인구수 01 청년고용률 Youth employment rate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1963 2019 1개월 15세29세 청년고용률은 2010년 40.4%에서 2013년 39.5%로 소폭 감소하다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4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청년 고용률은 40.4%에서 2018년 42.7%로 2.3%p 증가하였는데, 이는 15세19세 10대 고용률의 증가 6.1%에서 7.4%로 증가 로 설명된다. 2029세 청년의 고용률은 2010년 58.4%에서 2018년 57.9%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15세 이상 전체 연령 고용률 60.7%보다 낮다. 여기서는 OECD 국제기준의 청년 고용지표를 따라 청년을 1529세로 청년을 정의하였다. 성인으로 이행의 연장과 높은 교육수준 등을 고려해 청년의 연령 범위를 조정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1934세 청년의 고용률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Checkpoint 유의사항 국제노동기구 ILO 가 고용통계기준을 개정 2013년 10월 함에 따라 무급 가족종사자 범위가 ‘1시간 무급 가족종사자’로 확장되었으나, 공식 취업자·고용률 등은 현행 18시간 무급 가족종사자 취업자 기준 과 동일하게 제공하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모수추정의 근간이 되는 추계인구 작성 방법이 등록센서스 기반으로 변화하고, 과거 시계열도 소급 보정된다. 인구통계와의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2000년 7월2018년 12월 18년 6개월간 간의 소급 보정된 모수추정용 인구를 적용하여 새로운 표본가중치를 산출하고, 공표자료 KOSIS, 마이크로데이터 등 를 재작성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설명자료 발췌 표 3-1 청년 연령대별 고용률 20102019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15세 이상 전체 58.9 59.3 59.6 59.8 60.5 60.5 60.6 60.8 60.7 60.9 1529세 40.4 40.4 40.3 39.5 40.5 41.2 41.7 42.1 42.7 43.5 1519세 6.1 6.8 7.0 6.9 7.7 7.8 8.0 8.4 7.4 7.6 2024세 44.4 43.3 44.5 43.3 44.8 46.1 46.1 45.3 43.7 43.5 2029세 58.4 58.4 58.2 56.8 57.4 57.9 58.2 57.6 57.9 58.2 자료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http//kosis.kr에서 2020.01.17. 인출 단위% 단위% 자료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http//kosis.kr에서 2020.01.17. 인출 그림 3-1 성별 청년 연령대별 고용률 20002019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남성 2024세 남성 2529세 남성 3034세 여성 2024세 여성 2529세 여성3034세
121페이지 내용 : 3. 청년 119 연 관 대학 졸업 청년고용률 01-1 Employment rates of 2534 year-olds with tertiary education 지표 정의 2534세 고등교육 대학 졸업자 중 취업자 비율을 의미한다. 2018년 우리나라 성인 2564세 의 고등교육 이수율 고등교육단계의 학력 소지자 수/연령별 인구수 은 49.0%로 OECD 평균보다 높고, 특히 청년층 2534세 은 69.6%로 2008년 이후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대학 졸업 청년의 고용률은 높은 인적자본에도 불구하고 일하지 않거나, 못 하는 청년의 현실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측정 산식 •정규 교육과정이 마무리된 시점으로 예상되는 2534세 청년 중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을 보여준다. 고등교육에는 고등학교 이상의 전문대학, 4년제 대학, 대학원이 포함되고, 사이버·원격·방송통신대학은 제외된다. • 2534세 고등교육 이수자 중 취업자 수 ×100 2534세 고등교육 이수자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OECD 대학 졸업 청년고용률 2017 비정기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1999 2017 월 우리나라 2534세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은 2007년 74%에서 2017년 75%로 소폭 상승했으나, OECD 평균인 84%보다 10%p 낮은 수준이다. 고등교육 이수 여성의 고용률은 2007년 65%에서 2017년 69%로 4%p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지만, OECD 국가의 여성 고등교육 이수자 고용률 평균 80%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치이다. 이는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아지고, 양성평등 정책 확충과 사회적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많은 청년 여성들이 일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성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은 84%에서 81%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높은 교육수준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 하는 최근 청년의 어려움이 반영된 결과이다. Checkpoint 표 3-2 OECD 국가 2534세 대학졸업자 고용률 단위% 구분 전체 남성 여성 OECD 평균 한국 OECD 평균 한국 OECD 평균 한국 2007 85 74 91 84 81 65 2017 84 75 89 81 80 69 자료OECD·ILO, See Source section for more information and Annex 3 for notes http//dx.doi.org/10.1787/eag-2018-36-en , 2018을 참고하여 재구성 자료OECD·ILO, See Source section for more information and Annex 3 for notes http//dx.doi.org/10.1787/eag-2018-36-en , 2018을 참고하여 재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OECD 평균 한국 OECD 평균 한국 OECD 평균 한국 전체 남성 여성 2007 2017 85 74 91 84 81 65 84 75 89 81 80 69 그림 3-2 OECD 국가 2534세 대학졸업자 고용률 단위% 3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