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페이지 내용 : 128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대 표 참고문헌 • 변금선, 김기헌 2019 청년층의 삶의 질 격차에 관한 연구19881998년생 청년의 다중격차 실태 분석. 사회복지정책. 46 2 , 257-258. 19세29세 청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에서 2018년 6.1로 높아졌으며, 이는 전체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 것과 유사한 수준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의 삶의 만족도는 30대, 40대보다는 낮고 60대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한편, 전체 삶의 만족도는 OECD 국가의 삶의 만족도 평균인 6.5점보다 0.6점 낮으며, 이탈리아, 일본과 비슷한 수치다. Checkpoint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 2013 2018 1년 표 3-8 연령대별 주관적 삶의 만족도 20132018 단위점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체 5.7 5.7 5.8 5.9 6.0 6.1 연령대 1929세 청년 5.7 5.9 5.8 6.1 6.1 6.1 30대 5.8 5.8 5.8 5.9 6.2 6.2 40대 5.7 5.7 5.8 5.8 6.0 6.2 50대 5.5 5.6 5.8 5.8 5.9 6.1 6069세 5.6 5.5 5.9 5.9 5.9 5.9 자료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 각 연도 http//kosis.kr에서 2019.11.29. 인출 지표 정의 청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9세29세 청년이 현재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010점 척도 평균값이며, 현재의 삶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관한 주관적인 만족 수준을 보여준다. 삶의 질 지표는 주관적, 객관적 지표로 구별되는데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지표와 달리 개인이 인식하는 삶의 만족 수준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삶의 질 지표가 갖는 질적 측면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삶의 질 향상이 보건복지정책 분야의 핵심 목표로 설정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09 청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of the youth 유의사항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주관적 웰빙 Subjective well-being 을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인 만족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이므로 동일한 조건에서도 개인 간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 설명자료 발췌
131페이지 내용 : 3. 청년 129 대 표 지표 정의 청년의 사회단체 참여율은 20세29세 청년 중 정치단체, 지역사회모임, 시민사회 단체, 취미·레저·스포츠 단체에 참여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로 정의한다. 우리나라는 청년의원 비율이 매우 낮은 국가이다. 국제의회연맹 IPU, Inter-Parliamentary Union 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의 만 30세 미만 청년의원 비율은 0%로 유럽 47개국 평균 3.9%에 한참 못 미친다 IPU, 2018 청년 사회단체 참여율은 청년의 정치 참여율이 매우 낮은 상황에서, 정치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의 비율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측정 산식 지난 1년간 단체참여 경험자 중 2029세 인구수 ×100 조사대상 인구 중 2029세 인구수 10 청년 사회단체 참여율 Social participation rate of the youth 유의사항 사회조사의 조사대상 인구는 2009년까지는 15세 이상 인구이며, 2011년부터 13세 이상 인구로 하향조정 되었다. 참고문헌 • IPU 2018 Youth participation in national parliaments2018. 20세29세 청년의 2017년 사회단체 참여율은 41.9%로 전체 사회단체 참여율 38.9%보다 낮은 수준이다. 시민사회단체 참여율은 2.7%로 3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낮으며, 정치단체 참여율은 0.7%로 60대 이상 0.3% 에 비해 높고 4050대 0.8% 보다 낮았다. 한편 지역사회 모임 참여율은 20세 미만과 20대 청년의 참여율이 0.2% 1.0%로 40대 이상 참여율이 5.0% 이상인 것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Checkpoint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통계청 사회조사* 1999 2019 2년** 사회참여 부문 사회참여 부문은 홀수년 공표 표 3-9 연령대별 사회단체 참여율 2017 단위% 구분 전체 친목· 사교단체 종교단체 취미· 스포츠· 레저단체 시민사회 단체 학술단체 이익단체 정치단체 지역사회 모임 기타 전체 49.7 38.9 14.0 21.7 4.2 2.8 1.9 0.6 5.2 0.0 연령집단 20세 미만 33.5 14.9 10.4 20.2 8.8 4.4 0.4 0.5 0.2 0.2 20∼29세 청년 41.9 32.2 8.3 22.8 2.7 5.4 1.2 0.7 1.0 0.0 30∼39세 48.1 38.3 10.1 24.1 2.0 2.8 2.4 0.7 3.9 0.0 40∼49세 57.4 46.1 15.0 27.8 5.2 2.4 3.7 0.8 5.7 0.0 50∼59세 60.0 50.8 17.9 24.6 5.8 2.2 2.2 0.8 7.7 0.1 60세 이상 47.5 37.1 17.9 12.2 2.9 1.1 0.8 0.3 8.2 0.0 자료통계청, 사회조사, 2017. http//kosis.kr에서 2019.11.29. 인출 3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