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페이지 내용 : 노인인구수와 더불어 앞으로 학대 경험은 노인의 삶의 질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학대로 피해를 입은 노인을 보호하고, 노인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사회의 관심과 정부의 보호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더불어, 장기요양기관 수와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 수도 노인인구수가 증가하면서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장기요양기관 수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재가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와 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을 포함한다. 그리고 장기요양기관의 전문 인력은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치과위생사, 물리 작업 치료사를 포함한다. 2012년 이후 장기요양기관 수는 연평균 5.9%씩 증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인력은 2018년 421,326명에 이르러 2014년 이후 연평균 9.5%씩 증가하였다. 이 중 요양보호사가 전체의 90.1%를 차지하여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는 2017년 4.9%, 2018년 5.9%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노인인구수의 증가로 장기요양기관을 찾는 이용자들이 증가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수요자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정부에서 장기요양수급대상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계획과 맞물려, 장기요양기관을 찾는 이용자들은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기관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증가하는 장기요양기관 수와 전문 인력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에 대하여, 이용자들을 만족하는 구조 및 과정측면에 초점을 두어 서비스 질 향상 및 관리가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요양수급률은 2011년 이후 매년 조금씩 증가하여 2017년 8.3%이지만,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독일, 스위스 등 OECD 국가에서는 10%를 넘는 수급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비율 및 건강수준을 고려하여 장기요양의 인적 및 물적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여야 할 필요성이있다.
137페이지 내용 : 4. 노인 135 대 표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통계청 생명표* 1970 2018 1년 2016년 12월 2일자로 생명표 작성방법 개선으로 과거 공표된 19702015년 생명표 수치가 갱신되었음. 시도별 통계는 3년 주기로 공표 참고문헌 •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7, 2017 지표 정의 65세의 사람이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이다. 측정 산식 65세 이후의 총 생존연수 정지인구 65세의 생존인구 수 노인의 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65세 기대여명은 2006년 17.9년에서 2011년 19.4년, 2018년 20.8년으로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 수준은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다른 인구 집단보다 건강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Checkpoint 01 65세 기대여명 Life Expectancy at 65 years 15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 25 전체 남자 여자 19.0 19.1 19.4 19.5 19.9 20.2 20.3 20.6 20.8 20.8 16.7 16.8 17.1 17.2 17.6 17.9 18.2 18.4 18.6 18.7 21.1 21.2 21.5 21.5 21.9 22.3 22.4 22.6 22.7 22.8 단위년 주2018년 12월 2일자로 생명표 작성방법 개선으로 과거 공표된 19702015년 생명표 수치가 갱신되었음. 자료통계청, 생명표, 각 연도 http//kosis.kr에서 2020.01.23 인출 그림 4-1 성별 65세 기대여명 20092018 4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