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페이지 내용 : 136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10 15 20 25 헝가리 멕시코 라트비아 슬로바키아 터키 리투아니아 체코 폴란드 미국 에스토니아 덴마크 영국 네덜란드 독일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그리스 스웨덴 칠레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뉴질랜드 룩셈부르크 이스라엘 벨기에 포르투갈 핀란드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한국 스위스 스페인 프랑스 일본 남자 여자 24.4 23.6 23.4 22.8 22.7 22.4 22.3 22.1 22.1 22.1 21.9 21.9 21.7 21.7 21.7 21.6 21.5 21.5 21.5 21.4 21.4 21.4 21.2 21.2 21.1 20.8 20.8 20.6 20.2 19.8 19.4 19.2 19.1 19.0 18.7 18.4 19.6 19.6 19.3 20.0 18.6 19.2 19.7 19.3 18.4 18.3 18.5 19.3 18.6 19.6 17.6 19.3 18.5 17.8 19.2 18.6 19.8 19.0 18.1 18.7 18.8 18.2 15.6 18.1 15.9 16.2 14.4 16.0 15.3 14.1 16.8 14.5 단위년 주칠레는 2016년 수치 자료OECD Health Data http//stats.oecd.org에서 2019.11.27 인출 그림 4-2 OECD 국가의 성별 65세 기대여명 2017 표 4-1 연도별·시도별 65세 기대여명 단위년 시도 전체 남자 여자 2008 2011 2014 2017 2008 2011 2014 2017 2008 2011 2014 2017 전국 18.6 19.4 20.2 20.8 16.3 17.1 17.9 18.6 20.7 21.5 22.3 22.7 서울 19.6 20.3 21.0 21.8 17.6 18.1 19.0 19.8 21.5 22.2 22.8 23.7 부산 17.6 18.7 19.7 20.1 15.4 16.5 17.7 18.1 19.5 20.6 21.5 22.0 대구 18.2 18.9 19.9 20.4 16.0 16.8 17.8 18.4 20.1 20.8 21.7 22.1 인천 18.6 19.0 19.9 20.6 16.4 16.9 17.8 18.2 20.6 20.8 21.8 22.7 광주 18.3 18.8 19.6 20.3 16.3 16.5 17.6 18.5 20.2 20.9 21.5 21.9 대전 18.6 19.4 20.3 20.8 16.7 17.3 18.3 19.2 20.3 21.4 22.1 22.3 울산 17.3 18.0 18.8 19.9 15.3 15.6 17.0 17.8 19.1 20.2 20.5 21.8 세종 20.5 20.5 18.0 18.1 22.7 22.7 경기 18.9 19.6 20.4 20.9 16.8 17.5 18.3 19.0 20.8 21.6 22.4 22.7 강원 18.4 19.7 20.1 20.7 16.0 17.3 17.6 18.2 20.5 21.8 22.4 23.0 충북 18.3 18.9 19.9 20.3 15.9 16.5 17.5 18.2 20.4 21.1 22.1 22.2 충남 18.9 19.8 20.3 20.8 16.4 17.3 17.8 18.5 21.1 22.0 22.6 22.9 전북 18.4 19.5 20.2 20.6 16.0 17.0 17.7 18.4 20.6 21.7 22.5 22.7 전남 18.6 19.1 20.2 20.5 15.8 16.3 17.1 17.9 21.0 21.6 22.9 22.9 경북 18.4 19.0 20.0 20.5 15.8 16.4 17.3 18.2 20.7 21.2 22.3 22.7 경남 17.8 18.8 19.7 20.1 15.1 16.3 17.1 17.7 20.2 21.0 22.0 22.3 제주 20.4 20.7 21.1 21.5 17.6 17.5 18.5 18.8 22.9 23.5 23.4 23.8 주1 2016년 12월 2일자로 생명표 작성방법 개선으로 과거 공표된 19702014년 생명표 수치가 갱신되었음. 2 세종은 2008년과 2011년의 자료가 없음. 자료통계청, 생명표, 각 연도 http//kosis.kr에서 2019.01.04. 인출
139페이지 내용 : 4. 노인 137 대 표 표 4-3 노인의 기능상태 제한 현황 2017 단위% 구분 전체 연령별 지역별 성별 6569세 7074세 7579세 8084세 85세 이상 동 읍면 남자 여자 기능제한 없음 74.7 89.4 83.1 70.8 56.1 32.6 75.6 72.7 83.6 68.1 IADL만 제한 16.6 7.6 12.1 20.3 29.2 35.4 15.8 18.3 10.4 21.2 ADL도 제한 경험 8.7 3.0 4.8 8.9 14.7 32.0 8.6 9.0 6.1 10.7 IADL 완전 자립 75.4 89.9 84.1 71.9 56.7 32.7 76.2 73.7 83.7 69.3 12개 도움 9.6 4.9 8.1 12.6 15.5 15.7 8.5 12.1 5.1 13.0 34개 도움 5.6 2.9 3.6 7.2 9.8 11.7 5.7 5.4 4.1 6.8 56개 도움 4.3 1.5 2.5 4.0 9.4 13.7 4.7 3.7 3.3 5.1 78개 도움 2.4 0.3 0.8 1.8 4.6 13.0 2.4 2.4 1.6 3.0 910개 도움 2.6 0.6 0.9 2.5 4.0 13.2 2.5 2.8 2.2 2.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7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1994 2017 3년 지표 정의 일상생활수행능력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은 기본적인 일상 활동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노년기에 있어서 신체적 독립성의 유지능력과 자립적 노후생활의 영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지표는 장기요양서비스의 필요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옷 입기, 세수·양치·머리감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일어나 방 밖으로 나가기, 화장실 이용하기, 대소변 조절하기의 7개 항목으로 조사된다. 한편,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은 몸단장 하기, 집안일 하기, 식사 준비하기, 빨래하기, 근거리 외출하기, 교통수단 이용하기, 물건 구매하기, 금전 관리하기, 전화 사용하기, 약 챙겨먹기의 10개 항목으로 조사된다. 측정 산식 ADL 항목 중 1개 이상 제한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 수 ×100 65세 이상 조사자 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ADL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의 ADL 제한경험률은 1994년 32.8%에서 2004년 6.9%, 2014년 6.9%로 많이 감소하였으나, 2017년 8.7%로 다시 증가하였다. IADL 제한경험률 역시 1994년 17.4%에서 지속적으로 감소 경향을 보이나, 2014년 11.3%, 2017년 16.6%로 다시 증가추세를 보였다. Checkpoint 02 노인의 ADL 제한율 Rate of ADL Limitations among adults aged 65 and over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대소변 조절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누웠다 일어나 방 밖으로 나가기 차려놓은 음식 먹기 목욕 또는 샤워하기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옷입기 완전 도움 부분 도움 완전 자립 96.8 2.5 0.7 96.9 2.3 0.8 93.1 5.4 1.5 98.5 1.1 0.5 98.8 0.7 0.5 98.0 1.3 0.7 96.5 2.8 0.7 단위% 자료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7 표 4-2 연도별 노인의 기능상태 제한 현황 단위% 그림 4-3 ADL 항목별 기능상태 2017 연도 기능제한 없음 IADL만 제한 경험 ADL도 제한 경험 계 1994 49.7 17.4 32.8 100.0 1998 52.7 15.6 31.7 100.0 2004 80.7 12.4 6.9 100.0 2008 81.6 10.4 8.0 100.0 2011 85.1 7.7 7.2 100.0 2014 81.8 11.3 6.9 100.0 2017 74.7 16.6 8.7 100.0 자료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각 연도 4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