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144페이지 내용 : 142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대 표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1994 2018 1년 노인인구의 급증과 기대여명의 향상으로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중 노인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중은 전년 대비 0.5%p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노인 진료비의 비중도 40%대를 유지하였다. 빠른 의료비 증가는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바, 노인 진료비 역시 정책적 개입을 통한 관리가 요구된다. Checkpoint 05 노인 진료비 Medical Expenditures on adults aged 65 and over 유의사항 •‘노인 진료비 비율’은 건강보험 진료비에서 65세 이상 인구의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65세 이상 인구의 연간 진료비를 65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 인구로 나누고 이것을 다시 한달 분으로 환산해준 값이다. •진료비는 급여 진료비와 법정본인부담금의 합으로 구성된다. 지표 정의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건강보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출한 진료비이다. ‘노인 진료비의 비율’과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를 통해 노인이 지출한 진료비 수준을 확인하고, 노인 1인의 부담 수준을 점검할 수 있다. 측정 산식 •65세 이상 인구의 진료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좌 노인 진료비 비율 우 0 100 200 300 400 0 10 20 30 40 28.2 30.8 31.9 32.3 33.3 34.7 35.5 36.7 38.4 39.1 40.9 40.9 173 195 217 236 247 253 263 278 298 327 347 374 단위천 원, %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 2018년 건강보험통계연보, 2019 그림 4-8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및 노인 진료비 비중 20072018 표 4-6 노인 진료비 비율 및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20072018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체 인구 천 명 47,820 48,160 48,614 48,907 49,299 49,662 49,999 50,316 50,490 50,763 50,941 51,072 65세 이상 인구 천 명 4,387 4,600 4,826 4,979 5,184 5,468 5,740 6,005 6,223 6,445 6,806 7,092 노인인구 비율 % 9.2 9.6 9.9 10.2 10.5 11.0 11.5 11.9 12.3 12.7 13.4 13.9 총 진료비 억 원 323,892 348,690 393,390 436,283 462,379 478,392 509,552 544,272 579,546 645,768 693,352 779,104 65세 이상 진료비 억 원 91,190 107,371 125,442 140,987 153,961 166,237 181,128 199,974 222,361 252,692 283,247 318,235 노인 진료비 % 28.2 30.8 31.9 32.3 33.3 34.7 35.5 36.7 38.4 39.1 40.9 40.9 전체 인구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원 56,443 60,335 67,434 74,339 78,159 80,275 84,927 90,142 95,653 106,010 113,424 127,125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원 173,220 194,513 216,608 235,969 247,494 253,348 262,976 277,526 297,768 326,729 346,810 373,936 주1 적용 인구는 연도 말 기준 2 전체 인구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진료비/연평균 건강보험 적용 인구 /12 3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 65세 이상 진료비/연도말 65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 인구 /12 4 반올림 계산하여 실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 2018년 건강보험통계연보,2018

페이지
책갈피 추가

145페이지 내용 : 4. 노인 143 연 관 표 4-7 의료기관 종별 노인 외래환자 수 2016 단위명, % 구분 전연령 65세 이상 외래환자 수 외래환자 중 노인 비율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741,247 201,365 80,131 121,234 27.2 10.8 16.4 상급종합 40,681 12,498 6,079 6,419 30.7 14.9 15.8 종합병원 500병상 이상 27,683 10,216 5,663 4,553 36.9 20.5 16.4 300499병상 17,766 6,290 3,366 2,924 35.4 18.9 16.5 100299병상 24,024 7,203 3,337 3,866 30.0 13.9 16.1 병원 100병상 이상 26,529 6,997 2,864 4,133 26.4 10.8 15.6 3099병상 41,768 5,881 2,271 3,610 14.1 5.4 8.6 요양병원 300병상 이상 499 221 76 145 44.3 15.2 29.1 100299병상 2,174 900 324 576 41.4 14.9 26.5 3099병상 619 308 101 207 49.8 16.3 33.4 의원 병상있음 137,201 34,642 12,758 21,884 25.2 9.3 16.0 병상없음 422,304 116,212 43,292 72,920 27.5 10.3 17.3 자료보건복지부,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2017 지표 정의 외래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방문하는 경우이며, 외래환자 수는 외래환자가 요양기관에 방문한 횟수 외래방문일수 에 대한 값이다. 측정 산식 •외래환자 중 노인 비율 = 65세 이상 외래환자 수 전체 외래환자 수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보건복지부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2001 2016 5년 05-1 의료기관 종별 노인 외래환자 수 Number of outpatient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ged 65 and over 4노인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