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페이지 내용 : 162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연 관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1999 2018 1년 03-1 장애인 거주시설 수 및 거주인 수 Number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sidents 표 5-9 장애인 거주시설 현황 20082018 단위개소, 명 구분 총계*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영유아 거주시설 단기거주 시설 공동생활 소계 지체· 가정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청각· 자폐성장애인 지적·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시설 수 인원 2008 347 22,250 202 12,814 33 2,292 14 784 11 546 144 9,192 136 8,981 9 455 84 450 2009 397 23,243 235 13,048 38 2,230 14 760 11 519 172 9,539 153 9,728 9 467 91 531 2010 452 24,395 260 19,270 40 3,673 14 873 10 386 196 14,338 182 4,813 10 312 103 589 2011 490 25,345 289 14,038 39 2,102 15 787 9 361 226 10,788 191 10,798 10 509 119 637 2012 1,348 30,640 342 14,926 40 2,057 16 786 8 335 278 11,748 201 11,006 10 510 128 1,438 667 2,760 2013 1,397 31,152 356 15,069 39 1,978 16 770 8 320 293 12,001 216 11,412 9 473 131 1,432 685 2,766 2014 1,457 31,406 375 15,246 44 2,208 15 632 7 270 309 12,136 223 11,344 9 466 137 1,495 713 2,855 2015 1,484 31,222 383 14,920 39 1,668 16 628 7 255 321 12,369 233 11,314 10 541 141 1,548 717 2,899 2016 1,505 30,980 381 14,817 40 1,766 17 711 7 228 317 12,112 233 11,192 9 452 146 1,616 736 2,903 2017 1,517 30,693 376 14,630 39 1,690 17 700 7 232 313 12,008 233 10,996 9 429 147 1,699 752 2,939 2018 1,527 30,152 376 14,168 33 1,418 16 662 7 223 320 11,865 239 10,995 9 398 150 1,671 753 2,920 주2011년 장애인복지법 개정으로 지역사회재활시설이었던 단기보호시설과 공동생활가정이 장애인 거주시설로 재편됨. 이에 따라 2012년부터 거주시설 수와 이용 인원이 크게 증가함. 자료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각 연도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76 75 51 71 80 74 25 4 313 68 87 60 71 58 88 94 32 단위개소 자료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2019 그림 5-3 시도별 장애인 거주시설 수 2018 지표 정의 장애인 거주시설이란 거주공간을 활용하여 일반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정 기간 동안 거주· 요양·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생활을 지원하는 시설을 말한다. 본 지표를 통해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비율 및 현황 등 시설 장애인 복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측정 산식 •장애인 거주시설은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지체·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언어장애인, 지적·자폐성장애인 ,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영유아 거주시설, 단기거주시설, 공동생활가정으로 구분한다. 본 지표는 각각의 시설 수와 연도 말 기준 거주하는 실 인원수를측정한다.
165페이지 내용 : 5. 장애인 163 연 관 지표 정의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이란 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상담·치료·훈련하거나 장애인의 일상생활, 여가활동 및 사회참여활동 등을 지원하는 시설을 말한다. 본 지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측정 산식 •전국 장애인 복지관과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의 수를 말한다.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1999 2018 1년 03-2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수 Number of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0 50 100 150 200 25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8 82 63 50 44 59 47 5 233 62 51 61 81 83 113 104 27 단위개소 자료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2019 그림 5-4 시도별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수 2018 표 5-10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수 20052018 단위개소 구분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 단기 보호 시설 공동생활 가정 의료재활 시설 계 장애인 복지관 주간보호 시설 장애인 체육관 생활이동 지원센터 수화통역 센터 기타 2005 1,049 130 259 22 124 108 61 331 14 2006 1,125 137 274 25 129 107 69 358 26 2007 1,286 157 321 24 149 143 76 400 16 2008 1,419 171 365 26 152 154 84 450 17 2009 1,563 185 395 27 154 162 91 531 18 2010 1,701 191 443 27 154 176 103 589 18 2011 1,820 199 485 27 156 180 119 637 17 2012 1,140 205 526 28 156 191 2013 1,184 219 558 29 155 199 18 2014 1,213 223 592 29 156 193 20 18 2015 1,248 224 625 30 156 193 20 18 2016 1,303 231 663 34 159 194 22 20 2017 1,333 237 690 33 157 194 22 19 2018 1,373 241 724 33 159 195 21 19 주1 의료재활시설은 2012년부터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제외되었으나 위 자료에서는 함께 표기함. 2 장애인 단기보호시설과 공동생활가정은 2012년부터 거주시설로 포함되었음. 3 2014년부터 점자도서관 및 점자도서출판시설이 기타 시설로 통계 산입 자료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각 연도 5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