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페이지 내용 : 172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표 5-23 시도별·월별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제공인력 수 2018 단위명 시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13,920 14,018 14,082 14,263 14,420 14,489 14,655 14,782 14,827 14,985 15,128 10,859 부산 4,725 4,728 4,749 4,850 4,884 4,912 4,976 5,020 5,042 5,112 5,150 5,203 대구 3,248 3,256 3,282 3,322 3,327 3,335 3,348 3,371 3,384 3,422 3,426 3,468 인천 3,706 3,704 3,763 3,775 3,785 3,813 3,816 3,832 3,868 3,896 3,915 3,943 광주 3,133 3,153 3,156 3,202 3,213 3,244 3,273 3,292 3,296 3,319 3,344 3,374 대전 3,011 3,029 3,064 3,103 3,125 3,136 3,173 3,191 3,202 3,218 3,241 3,278 울산 859 864 886 905 912 928 937 942 940 965 976 977 세종 149 148 154 160 160 165 171 167 170 177 181 192 경기 12,349 12,476 12,629 12,824 12,939 13,003 13,136 13,212 13,348 13,538 13,617 18,340 강원 1,372 1,384 1,389 1,424 1,429 1,427 1,454 1,456 1,472 1,510 1,513 1,530 충북 1,942 1,951 1,960 2,001 2,004 2,011 2,040 2,061 2,057 2,092 2,101 2,122 충남 2,379 2,424 2,460 2,493 2,529 2,549 2,575 2,594 2,602 2,640 2,653 2,656 전북 1,946 1,958 1,980 2,026 2,068 2,106 2,134 2,165 2,180 2,196 2,212 2,239 전남 2,264 2,280 2,302 2,345 2,374 2,414 2,447 2,443 2,421 2,465 2,486 2,276 경북 2,457 2,484 2,523 2,565 2,593 2,612 2,641 2,670 2,686 2,745 2,759 2,776 경남 4,100 4,168 4,221 4,315 4,357 4,420 4,461 4,460 4,517 4,567 4,610 4,661 제주 715 712 727 747 744 749 753 768 762 772 777 779 합계 62,275 62,737 63,327 64,320 64,863 65,313 65,990 66,426 66,774 67,619 68,08968,673
175페이지 내용 : 5. 장애인 173 대 표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및 이용자통계 보육통계 2004 2018 1년 지표 정의 장애아 어린이집은 장애아를 위한 어린이집으로, 보다 장애아가 많은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과, 장애아와 비장애아를 함께 보육하는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으로 구분한다. 이용 아동은 각각 시설의 연도 말 이용 현원을 의미한다. 본 지표를 통해 장애아 보육정책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측정 산식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및 이용 아동 수 = 12명 이상의 장애영유아를 보육할 수 있는 어린이집 및 이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현 인원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및 이용 아동 수 = 3명 이상의 장애영유아를 통합 보육할 수 있는 어린이집 및 이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현 인원 2000년대 중반 장애아 어린이집과 이용 아동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2018년에는 전년 대비 시설 수는 53개소 증가하였으나, 이용 아동은 201명 증가하였다. 통합보육이 강조되면서 시설 증가의 대부분이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수는 2009년 이후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heckpoint 07 장애아 어린이집 및 이용 아동 수 Number of the Child Car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Users 표 5-24 유형별 장애아 어린이집 수 및 이용 인원 20042018 단위개소, 명 유형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시설 수 장애아 전문 103 132 144 154 160 168 166 169 171 172 174 175 177 178 177 장애아 통합 229 686 732 685 756 806 810 815 836 867 872 899 911 946 1,000 이용 아동 수 장애아 전문 3,935 5,053 5,406 5,887 6,068 6,206 6,137 6,152 5,994 5,883 5,860 5,895 6,158 6,161 6,239 장애아 통합 1,666 2,582 3,212 3,332 3,518 3,469 3,487 3,513 3,565 3,689 3,835 3,929 4,079 4,066 4,189 시설 소계 332 818 876 839 916 974 976 984 1,007 1,039 1,046 1,074 1,088 1,124 1,177 이용 아동 소계 5,601 7,635 8,618 9,219 9,586 9,675 9,624 9,665 9,559 9,572 9,695 9,824 10,237 10,227 10,428 자료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각 연도 0 300 600 900 1,200 1,500 1,000 3,000 5,000 7,000 9,000 11,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시설 수 아동 수 332 818 876 839 916 974 976 984 1,007 1,039 1,046 1,074 1,088 1,124 1,177 5,601 7,635 8,618 9,219 9,586 9,675 9,624 9,665 9,559 9,572 9,695 9,824 10,237 10,227 10,428 단위개소, 명 주장애아 전문 어린이집과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수와 장애아동 현원 합 자료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각 연도 그림 5-7 장애아 어린이집 수 및 이용인원 20042018 5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