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페이지 내용 : 174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표 5-25 시도별·유형별 장애아 어린이집 수 및 이용 인원 2018 단위개소, 명 시도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합계 시설 수 이용 아동 시설 수 이용 아동 시설 수 이용 아동 서울 9 222 354 1,639 363 1,861 부산 16 522 37 133 53 685 대구 17 766 14 107 31 873 인천 6 126 68 319 74 445 광주 11 506 1 18 12 524 대전 5 103 17 57 22 160 울산 9 347 16 74 25 421 세종 1 21 6 7 7 28 경기 21 594 316 1,324 337 1,918 강원 4 122 17 56 21 178 충북 7 199 11 16 18 215 충남 10 305 31 45 41 350 전북 10 331 11 61 21 392 전남 13 541 13 31 26 572 경북 14 729 17 101 31 830 경남 21 674 28 96 49 770 제주 3 101 43 105 46 206 합계 177 6,239 1,000 4,189 1,177 10,428 자료보건복지부, 보육통계,2018
177페이지 내용 : 5. 장애인 175 대 표 지표 정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 및 제15조에 의거하여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선정한 장애영유아 및 학생 수를 의미한다. 측정 산식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장애영아 및 학생 수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2008 2018 1년 08 특수교육대상자 수 Number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특수교육대상자는 2005년 이후 2015년까지 꾸준하게 증가했으며, 2016년 소폭 감소 후 2017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증감 현황을 학교급별로 보면 장애영유아, 유치원, 초등학교, 고등학교, 전공과에서는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중학교는 2013년을 기점으로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애유형별로 보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만 전년대비 증가하였고 나머지 유형에서는 모두 소폭 감소하였다. 교육기관별로는 전년대비 일반학교 특수학급대상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여 특수학급에 대한 장애인의 교육 욕구가 큰 것으로 보인다. Checkpoint 표 5-26 학교급별 특수교육대상자 수 20052018 단위명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계 58,362 62,538 65,940 71,484 75,187 79,711 82,665 85,012 86,633 87,278 88,067 87,950 89,353 90,780 장애영아 288 290 356 403 578 680 742 656 5,986 6,212 유치원 3,057 3,243 3,125 3,236 3,303 3,225 3,367 3,675 4,190 4,219 4,744 5,186 초등학교 31,064 32,263 32,752 33,974 34,035 35,294 35,124 34,458 33,518 33,184 33,591 33,770 35,505 38,031 중학교 12,493 13,972 15,267 16,833 17,946 19,375 20,508 21,535 22,241 22,159 21,108 19,793 19,218 18,788 고등학교 11,748 13,060 13,349 15,686 17,553 19,111 20,439 21,649 22,466 22,973 23,422 23,943 28,644 27,749 전공과 1,447 1,755 2,062 2,416 2,871 3,292 3,640 4,063 4,460 4,602 주장애영아는 특수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 등임. 자료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각 연도 표 5-27 장애유형별 특수교육대상자 수 20052018 단위명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계 58,362 62,538 65,940 71,484 75,187 79,711 82,665 85,012 86,633 87,278 88,067 87,950 89,353 90,780 시각장애 1,745 1,902 2,292 2,103 2,113 2,398 2,315 2,303 2,220 2,130 2,088 2,035 2,026 1,981 청각장애 2,549 2,806 2,864 3,073 3,385 3,726 3,676 3,744 3,666 3,581 3,491 3,401 3,358 3,268 지적장애 33,618 33,958 36,041 40,222 40,601 42,690 45,132 46,265 47,120 47,667 47,716 47,258 48,084 48,747 지체장애 5,924 6,957 7,739 8,788 9,659 10,367 10,727 11,279 11,233 11,209 11,134 11,019 10,777 10,439 정서행동장애 5,870 8,852 7,695 7,681 3,537 3,588 2,817 2,713 2,754 2,605 2,530 2,221 2,269 2,221 자폐성장애 4,647 5,463 6,809 7,922 8,722 9,334 10,045 10,985 11,422 12,156 의사소통장애 301 1,185 1,226 1,324 1,591 1,631 1,819 1,953 1,966 2,045 2,089 2,038 2,081 학습장애 8,447 6,738 6,982 6,754 6,526 6,320 5,606 4,724 4,060 3,362 2,770 2,327 2,040 1,627 건강장애 209 1,024 1,142 1,637 1,945 2,174 2,229 2,195 2,157 2,029 1,935 1,675 1,626 1,758 발달지체 1,450 1,394 1,723 2,048 2,748 3,395 4,313 4,940 5,713 6,502 자료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각 연도 표 5-28 교육환경별 특수교육대상자 수 20052018 단위명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계 58,362 62,538 65,940 71,484 75,187 79,711 82,665 85,012 86,633 87,278 88,067 87,950 89,353 90,780 일반학교 일반학급 5,110 6,741 7,637 10,227 12,006 13,746 14,741 15,647 15,930 15,648 15,622 15,344 15,590 15,595 일반학교 특수학급 29,803 32,506 35,340 37,857 39,380 42,021 43,183 44,433 45,181 45,803 46,351 46,645 47,564 48,848 특수학교 23,449 23,291 22,963 23,400 23,606 23,776 24,580 24,720 25,138 25,288 25,531 25,467 25,798 25,919 특수교육지원센터 195 168 161 212 384 539 563 494 401 418 자료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각 연도 5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