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페이지 내용 : 018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청년 니트 NEET 비율 한국의 1529세 청년 니트 비율은 2007년 18.2%에서 2017년 18.4%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지난 10년 동안 13.8%에서 13.4%로 다소 감소한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약 5%p 높은 상황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위스 스웨덴 노르웨이 독일 일본 슬로베니아 체코 오스트리아 캐나다 리투아니아 호주 뉴질랜드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포르투갈 영국 폴란드 OECD 아일랜드 이스라엘 헝가리 벨기에 미국 라트비아 슬로바키아 프랑스 한국 칠레 스페인 멕시코 그리스 이탈리아 터키 13.4 18.4 13.8 18.2 OECD 국가 청년 니트 비율 2007년 13.8% 2017년 13.4% 한국 청년 니트 비율 2007년 18.2% 2017년 18.4% 2007년 청년 니트 2017년 청년 니트 약 5.0%p� 자료OECD, Society at a Glance 2019의 p.89 그림 5.5 발췌 원자료National labour force surveys, the OECD Education database, www.oecd.org/education/database.htm. ▶ OECD 국가별 청년 니트 비율 2007, 2017 단위% 청년 우울감 경험률 1929세 청년의 우울감 경험률은 2015년 14.9%에서 2017년 13.5%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3년 이후 전체 연령대의 우울감 경험률보다 높은 수준 13.5% 2017년 1929세 청년 우울감 경험률 9.7 12.4 13.3 11.8 13.6 9.3 10.4 14.9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7 1929세 우울감 경험률 전체 연령대 우울감 경험률 13.5 12.4 15.4 12.5 14.3 14.7 12.4 13.2 12.4 10.2 13.0 11.2 출처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 2017 」, 2019 ▶ 연령대별 우울감 경험률 20052017 단위% INFOGRAPHICS 청년2019
21페이지 내용 : INFOGRAPHICS 019 노인학대 경험률 및 노인학대 신고 건수 노인학대 경험률은 2017년 9.8% 수준이며, 2018년 노인학대 신고 건수는 15,482건, 학대사례는 5,188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5,162 3,441 5,916 3,424 6,642 3,520 7,037 3,532 8,087 3,818 7,729 4,280 8,687 4,622 2008 2011 2014 2017 10.2 12.7 9.9 9.8% 2017년 노인 학대경험률 10,294 일반 사례 5,188 8,603 9,340 10,162 10,162 11,905 12,009 13,309 15,482 학대 사례 15,482건 2018년 노인학대 신고 건수 2,173건 증가 � 566건 증가 � 주1 일반 사례신고접수된 사례 중 단순 정보제공이나 기관 안내 등의 문의로 학대의심사례로 보기 어려운 사례와 신고접수 시 노인학대가 의심되었으나 사실관계 확인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노인학대 및 학대 위험요인이 드러나지 않는 사례 2 학대 사례신고접수 시 노인학대가 의심되어 현장조사를 실시한 후 사례판정 결과 학대로 판정된 사례 자료보건복지부·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8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2019 ; 학대경험률은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 연도별 노인의 학대경험률 및 노인학대 신고 건수 20112018 단위명, % 노인 진료비 노인 진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2017년 34만 7천 원에서 2018년 37만 4천 원 으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노인 진료비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과 동일한 40.9% 수준 유지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8년 노인 진료비 비율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37만 4천 원 28.2 30.8 31.9 32.3 33.3 34.7 35.5 36.7 38.4 39.1 40.9 40.9% 173 195 217 236 247 253 263 278 298 327 347 374천 원 W W W 27천 원 증가 �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 2018년 건강보험통계연보, 2019 ▶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및 노인 진료비 비중 20072018 단위천 원, % 2015 2016 2017 2018 324,946 377,184 344,242 421,326명 421,326명 2018년 장기요양기관 전문 인력 21,290개소 2018년 장기요양기관 수 184,050 18,002 19,398 20,377 21,290개소 20,000개소 돌파 44,142명 증가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각 연도 장기요양기관은 2017년 처음으로 2만 개소를 넘어선 이후에도 2018년 21,290개소로 증가했으며, 전문인력 역시 약 42만 1천 명 수준으로 증가 ▶ 장기요양기관 수 및 전문인력 현황 20152018 단위명, 개소 장기요양기관 수와 장기요양기관 전문 인력 INFOGRAPHICS 2019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