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페이지 내용 : 424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연 관 0.010 0.015 0.020 0.025 0.030 0.035 0.040 0.045 0.050 1990 1995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환경기준선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연도별 이산화질소 NO2 오염도 단위ppm 자료환경부, 대기환경연보, 각 연도 그림 13-4 지표 정의 이산화질소 오염도 ppm 는 대기 백만 리터 L 에 들어있는 이산화질소의 양이다. 측정 산식 •대기 백만 리터에 들어있는 이산화질소의 양 ppm, parts per million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1980 2018 1년 주요도시 이산화질소 오염도 01-2 Concentration Level of Nitrogen Dioxide NO2 in MajorCities
427페이지 내용 : 13. 환경 425 13 환경 대 표 지표 정의 소음도는 소음의 크기를 뜻하며, 「소음·진동 관리법」 상 소음은 기계·기구·시설 그 밖의 물체의 사용 또는 공동주택 등의 장소에서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측정 산식 •소음도는 데시벨 dB 로 측정한다. •낮 시간대 06002200 에는 각 측정점에서 2시간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밤 시간대에는 낮 시간대에 측정한 지점에서 2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주요도시 환경소음도현황 2000 2018 분기 전용주거지역의 환경기준 달성률이 특히 낮으므로 2018년 기준 낮 시간대 25%, 밤 시간대 16% ,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Checkpoint 02 주요 대도시 소음도 Noise Level in Major Cities 30 40 50 60 70 낮 전용주거 일반주거 상업 공업 밤 낮 밤 낮 밤 낮 밤 53 46 53 59 54 61 55 47 50 40 55 65 55 70 65 45 평균 소음도 환경기준 단위Leq dB A 자료환경부, 2018년도 환경소음측정망운영결과, 2019 그림 13-5 환경기준 대비 평균 소음도-일반지역낮, 밤 2018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낮 전용주거 일반주거 밤 낮 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환경 54 55 55 53 54 50 53 51 50 48 49 48 44 40 43 48 54 52 55 56 50 54 50 55 49 48 49 51 45 42 44 45 환경기준 65.0 환경기준 70.0 환경기준 60.0 환경기준 55.0 단위Leq dB A 자료환경부, 주요도시 환경소음도 현황, 2019 http//kosis.kr에서 2019.12.31. 인출 그림 13-6 주요도시 소음도 현황-일반지역낮, 밤 2018 하반기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낮 전용주거 일반주거 밤 낮 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환경 68 67 65 65 63 65 60 60 61 62 61 66 53 53 55 58 68 68 68 68 65 64 64 70 65 65 65 63 60 58 60 60 환경기준 50.0 환경기준 55.0 환경기준 45.0 환경기준 40.0 단위Leq dB A 자료환경부, 주요도시 환경소음도 현황, 2019 http//kosis.kr에서 2019.12.31. 인출 그림 13-7 주요도시 소음도 현황-도로변지역낮, 밤 2018 하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