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32페이지 내용 : 430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연 관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환경분야 예산 좌 환경예산 비율 우 0.0 0.4 0.8 1.2 1.6 2.0 2.4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87 1.94 2.07 2.11 2.07 2.07 2.04 2.07 2.02 1.99 36,568 42,101 46,740 49,741 51,496 54,458 56,119 59,389 59,695 60,232 단위억 원, % 자료환경부, 2018 환경통계연감, 2019 그림 13-13 환경예산 비율 20082017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정부예산 1,951,002 2,174,723 2,259,682 2,355,574 2,486,125 2,636,038 2,746,673 2,862,471 2,957,206 3,031,432 환경분야 예산 36,568 42,101 46,740 49,741 51,496 54,458 56,119 59,389 59,695 60,232 환경부 예산 35,514 40,282 44,832 47,778 49,897 52,477 54,324 57,401 57,405 57,830 환경예산 비율 1.87 1.94 2.07 2.11 2.07 2.07 2.04 2.07 2.02 1.99 자료환경부, 2018 환경통계연감, 2019 표 13-3 환경예산 비율 20082017 단위억 원, % 지표 정의 환경예산 비율은 정부예산 중 환경분야 예산의 비중을 의미한다. 측정 산식 환경분야 예산 ×100 정부예산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환경예산 비율 내부자료 2010 2017 부정기 환경예산 비율 04-1 Budget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s % of GovernmentBudget

페이지
책갈피 추가

433페이지 내용 : 13. 환경 431 13 환경 대 표 단위% 주보급률 1 은 수도사업자에 의한 급수 인구를 이용한 보급률이며, 보급률 2 는 마을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로 공급받는 인구를 포함한 보급률임. 자료환경부, 2016 상수도통계, 2017 75 80 85 90 95 10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보급률 1 보급률 2 96.8 98.8 99.9 99.9 98.3 93.1 98.3 91.0 92.2 88.4 96.7 89.0 91.5 94.0 76.9 99.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97.0 98.8 96.5 98.8 96.1 99.2 96.4 98.1 99.7 100.0 그림 13-14 시도별 상수도 보급률 2017 구분 지역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일반 상수도 보급률 % 1 전국 87.8 88.7 89.4 90.1 90.7 91.3 92.1 92.7 93.5 94.1 94.6 95.1 95.7 96.1 96.5 96.4 96.8 특·광역시 98.4 98.5 98.7 98.8 98.9 99.1 99.1 99.3 99.4 99.5 99.6 99.6 99.6 99.7 99.7 99.6 99.7 일반 시지역 96.5 97.0 97.0 97.3 97.5 97.5 97.6 98.3 98.6 98.7 98.8 98.9 99.1 99.1 99.3 99.0 99.1 읍지역 77.4 80.1 80.8 82.5 82.6 84.3 86.2 87.4 88.8 89.8 90.9 91.8 92.9 93.7 94.5 93.5 94.1 면지역 29.0 31.1 33.0 35.2 37.7 41.1 45.2 47.4 51.0 55.9 58.8 62.6 66.4 69.1 71.0 72.8 75.6 급수 보급률 % 2 전국3 94.6 95.1 95.4 95.9 96.4 96.8 97.4 97.7 97.9 98.1 98.5 98.6 98.8 98.9 99.1 특·광역시 99.1 99.3 99.5 99.5 99.9 99.9 99.9 99.9 99.9 99.9 99.9 99.9 일반 시지역 97.6 97.8 98.4 98.7 99.0 99.1 99.1 99.3 99.3 99.4 99.5 99.6 읍지역 86.0 87.8 89.3 90.7 94.7 94.9 95.5 96.4 96.9 97.2 97.2 97.6 면지역 48.4 53.9 58.1 61.6 85.4 86.7 88.2 90.2 91.5 92.3 92.7 94.3 주1 수도사업자에 의한 급수 인구계를 바탕으로 한 것임. 2 2010년 이전에는 마을 상수도로 공급받는 인구를 포함하며, 2010년 이후는 마을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로 공급받는 인구를 포함한 수치임. 3 2003년 이후 전국 수치는 마을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로 공급받는 인구를 포함한 수치임. 자료환경부, 상수도통계, 각 연도 표 13-4 지역별 상수도 보급률 20012017 단위% 지표 정의 상수도 보급률은 수돗물의 보급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총인구 중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는 인구의 비율이다. 생활환경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써,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측정 산식 급수 인구 ×100 총인구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상수도통계 1975 2017 1년 마을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을 포함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인구의 비율은 200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상수도의 2017년 전국보급률 마을, 소규모 포함 은 99.1%이며, 지역 간 격차 해소에 집중한 결과 면 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 대비 2.8%p 높아졌지만 여전히 70% 중반대에 머물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Checkpoint 05 상수도 보급률 Water SupplyRate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