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8페이지 내용 : 436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대 표 지표 정의 생활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은 총 생활폐기물 중에서 별도로 분리 배출하여 재활용시설로 반입 처리된 폐기물의 양을 말한다. 폐기물은 발생량뿐 아니라 처리과정도 중요하다. 환경정책 차원에서는 재활용률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측정 산식 재활용량 ×100 생활폐기물 발생량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993 2017 1년 우리나라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은 2009년 61.1%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부터 상승하고 있다. 전체 처리 방법 중에서 매립 비율은 감소하고, 소각 비율은 증가 후 정체하였다. 2017년 발생한 일평균 생활폐기물 중 61.6%가 재활용되었으며, 13.5%는 매립, 24.9%는 소각 처리되었다. Checkpoint 07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Recycling rate of municipal waste 30 40 50 60 70 80 9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61.6 67.1 79.8 76.6 58.6 85.5 63.6 54.5 56.3 61.0 55.3 51.1 51.8 60.7 48.1 48.1 55.7 57.0 단위% 자료환경부, 2017년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18 그림 13-19 시도별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2017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발생량 50,906 49,159 48,934 48,990 48,728 49,915 51,247 53,772 53,490 매립 9,471 18.6 8,797 17.9 8,391 17.2 7,778 15.9 7,614 15.6 7,813 15.7 7,719 15.1 7,909 14.7 7,240 13.5 소각 10,309 20.3 10,609 21.6 11,604 23.7 12,261 25.0 12,331 25.3 12,648 25.3 13,176 25.7 13,610 25.3 13,318 24.9 재활용 31,126 61.1 29,753 60.5 28,939 59.1 28,951 59.1 28,784 59.1 29,454 59.0 30,352 59.2 32,253 60.0 32,932 61.6 자료환경부,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각 연도 표 13-9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20092017 단위톤/일, %
439페이지 내용 : 13. 환경 437 13 환경 연 관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환경부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993 2017 1년 지표 정의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가정생활에서 발생하는 가정생활폐기물과 사업장생활폐기물의 합을 생활폐기물 관리구역 내 인구로 나눈 값이다. 측정 산식 생활계폐기물 가정생활폐기물 + 사업장생활폐기물 생활폐기물 관리구역 내 인구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 07-1 Municipal Waste Generation per Capita 0.9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0.95 1.00 1.05 1.10 0.98 1.01 1.04 1.05 1.03 1.02 0.99 0.99 1.04 1.02 0.96 0.95 0.95 0.94 0.95 0.97 1.01 1.01 생활폐기물 1일 1인당 발생량 20002017 단위㎏/일/인 자료환경부,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각 연도 그림 13-20 0.5 1.0 1.5 2.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01 0.91 0.95 1.16 0.76 0.86 1.09 1.27 0.85 0.88 1.49 1.25 1.25 1.02 1.03 1.15 1.16 1.93 시도별 1일 1인당 생활폐기물 발생량 2017 단위㎏/일/인 자료환경부, 2017년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18 그림 13-21 참고문헌 • OECD, Environment Statistics Database,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