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98페이지 내용 : 096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표 2-7 연도별 학교폭력 피해유형 비율 단위% 구분 신체적 상처는 없었다 신체적 상처가 있었다 욕설이나 모욕적인 말을 들었다 집단적인 따돌림을 당했다 인터넷이나 휴대폰으로 욕, 동영상 촬영을 억지로 당했다 기타 2010 34.9 19.6 33.7 6.3 0.6 4.1 2011 31.1 17.6 26.8 6.1 0.7 17.7 연도 구타 욕설, 폭언 돈, 금품 갈취 집단 따돌림 2012 28.1 56.2 29.6 38.2 2014 25.5 46.9 29.9 35.9 연도 사례수 건 청소년 폭력 피해율 욕설이나 무시하는 말 지속적으로 들음 맞거나 발로 차이거나 물건으로 인해 다침 돈이나 물건을 빼앗김 때리거나 괴롭히겠다고 위협을 당함 왕따 따돌림 을 당함 강제 심부름 빵셔틀 등 을 당함 사이버 인터넷 상의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당함 2016 15,633 8.6 6.9 2.9 1.0 1.8 1.6 0.5 0.8 2018 15,629 8.5 6.9 2.4 1.0 1.6 1.6 0.2 0.9 주1 제시된 7가지 유형 중 한 가지라도 경험해 본 적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임. 2 무응답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이며, 복수응답 자료여성가족부,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102014 , 여성가족부,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20162018 8 6 4 2 0 10 사이버 인터넷 상의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당함 강제 심부름 빵셔틀 등 을 당함 왕따 따돌림 을 당함 때리거나 괴롭히겠다고 위협을 당함 돈이나 물건을 빼앗김 맞거나 발로 차이거나 물건으로 인해 다침 욕설이나 무시하는 말 지속적으로 들음 청소년 폭력 피해율 전체 남 여 8.5 6.9 2.4 1.0 1.6 1.6 0.2 0.9 9.4 7.8 3.5 1.3 2.2 1.2 0.4 0.6 7.5 5.9 1.3 0.6 1.1 1.9 0.1 1.3 단위% 주기타는 모름 혹은 무응답 포함 자료여성가족부,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2018 그림 2-18 성별 학교폭력 피해유형 비율 2018 표 2-8 연도별·피해 장소별 학교폭력 비율 단위% 연도 학교교실 안 학교교실 외 교내공간 학교주변/ 공터/골목 동네 주변/ 골목/놀이터/ 주차장 상가, 지하도 안/ 학원 안/ 학원 건물 주변 시내유흥가/ 번화가 공원/야산 등 인터넷 공간 사이버 기타 2010 42.3 21.5 8.6 8.8 3.7 1.5 4.3 8.0 2011 38.3 12.3 8.3 10.5 2.1 1.9 4.1 22.3 2012 51.5 12.7 9.9 10.6 2.8 3.0 2.3 7.2 2014 46.4 13.3 10.6 9.0 3.8 2.5 2.5 11.7 2016 56.8 18.9 2.5 5.3 4.3 0.8 0.4 7.7 3.1 2018 51.6 19.7 2.2 4.7 5.3 0.6 0.5 10.7 4.6 자료여성가족부,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102014 , 여성가족부,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20162018

페이지
책갈피 추가

99페이지 내용 : 2. 아동 097 대 표 통계정보 작성기관 통계명 최초 작성연도 최근 작성연도 주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1963 2018 분기, 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통계연보 2005 2018 1년 유의사항 절대적 아동 빈곤율 추정에 있어서는 최저생계비 추정의 기준이 되는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사용하며, 상대적 아동 빈곤율은 OECD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처분 소득을 기준으로 활용한다. 가계동향조사가 2017년 개편되어 가계수지 소득 및 지출 통계에서 소득통계와 지출통계가 분리되어 지출통계는 연간 주기로 작성 및 공표되며, 소득통계는 분기마다 작성 및 발표되어 각 통계표에서 제시하는 내용 중 일부가 연도별로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2017년 아동의 상대적 빈곤율은 1/4분기에 9.9%로 가장 높았고, 전 분기 8.5% 이상을 상회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반기의 빈곤율 수치가 하반기보다 높았다. 2016년 OECD 국가별 상대적 아동 빈곤율 가처분 소득 기준 을 살펴보면 OECD 평균은 13.1%이며, 우리나라는 15.2%로 OECD 국가들 중 상대적으로 아동 빈곤율이 중상위권에 속한다. Checkpoint 07 아동 빈곤율 Child Poverty Rates 지표 정의 절대적 아동 빈곤율은 전체 아동 중 절대적 빈곤선 최저생계비 미만인 아동 만 18세 미만 의 비율로 정의한다. 상대적 아동 빈곤율은 전체 아동 중 상대적 빈곤선 균등화 중위소득 50% 미만인 아동의 비율로 정의한다. 측정 산식 소득이 빈곤선 이하인 아동 수 ×100 전체 아동 수 단위% 주1 농어가가구 제외, 1인 가구 제외 2 절대적 아동 빈곤율은 경상소득 기준임. 자료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통계연보, 각 연도. 원자료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각 연도 그림 2-19 연도별 절대적 아동 빈곤율 20032016 3.0 4.0 5.0 6.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5.6 5.5 5.9 5.9 5.9 5.6 4.9 4.8 4.3 4.4 3.6 3.3 3.6 3.7 단위% 그림 2-20 연도별 상대적 아동 빈곤율 6.0 8.0 10.0 12.0 2003 2005 2007 2009 2011 2015 2017 1/4 2017 2/4 2017 3/4 2017 4/4 2018 1/4 2018 2/4 2013 10.0 10.9 11.3 10.4 11.0 10.4 9.5 9.1 9.1 9.3 8.1 7.5 7.4 7.2 9.9 9.3 8.5 8.7 9.6 9.7 주1 농어가가구 제외, 1인 가구 제외 2 상대적 아동 빈곤율은 가처분소득 기준임. 자료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통계연보, 각 연도. 원자료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각 연도 및 분기별 2아동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