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26페이지 내용 : 2. 내용 출산전후휴가 유산사산휴가 급여 지원 1. 대상 휴가가 끝난 날 이전까지의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면서,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 피보험 단위기간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중 보수 지급의 기초가 된 날의 수 구분 지원내용 출산전후휴가 휴가 우선지원 대상기업 최대 90일 쌍둥이는 120일 대규모 기업 최대 30일 쌍둥이는 45일 급여 휴가 시작일 기준 통상임금 단, 통상임금이 최저임금액 미달 시 최저임금액 지원 우선지원 대상기업 최대 600만 원 쌍둥이는 800만 원 대규모 기업 최대 200만 원 쌍둥이는 300만 원 유산사산휴가 임신기간에 따라 590일까지 휴가 및 급여 지원 출산전후 유산사산 휴가 급여 신청서 제출 ※ 첨부서류 출산전후 유산사산 휴가 확인서 1부,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임금대장, 근로계약서 등 사본 1부, 유산이나 사산을 증명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진단서 1부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 고용보험 누리집 www.ei.go.kr 3. 방법 4. 문의 비정규직 근로자도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나요? 정규직뿐 아니라 단시간근로자를 포함한 비정규직 근로자 등 임신한 여성 근로자라면 누구나 근속기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출산전후 휴가 기간 중 근로계약 만료 등의 이유로 계약이 종료되면 출산전후휴가도 종료됩니다. 자주 하는 질문 026 아이를 낳는 것도 키우는 것도걱정이시죠?

페이지
책갈피 추가

27페이지 내용 : 1. 대상 긴급복지 지원제도 구분 지원대상 위기 사유 ①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②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③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 또는 유기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④ 가족폭력을 당하여 가구구성원과 함께 원만한 가정 생활을 하기 곤란하거나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 ⑤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한 경우 ⑥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영업이 곤란하게 된 경우 ⑦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실직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⑧ 지자체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소득활동 미미 가구원 간호,간병,양육 , 기초수급 중지, 미결정, 수도·가스 중단, 사회보험료·주택임차료 체납 등 ⑨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이혼, 단전, 교정시설 출소, 노숙, 복지사각지대 발굴대상자·통합사례관리대상자· 자살고위험군으로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소득 기준 중위소득 75% 1인 기준 137만 873원, 4인 기준 365만 7,218원 이하 재산 • 대도시 1억 8,8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1,8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100만 원 이하 • 금융재산 500만 원 이하 단, 주거지원은 700만 원 이하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으로 아래 위기사유와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2. 내용 구분 지원내용 지원금액 지원횟수 주 급 여 생계 1개월 생계유지비 식료품비, 의복비 등 지원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4인 기준 126만 6,900원 최대 6회 의료 각종 검사, 치료 등 의료서비스 지원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300만 원 이내 최대 2회 주거 임시거주 할 수 있는 주거 제공, 주거비용 지원 지역,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대도시, 4인 기준 64만 3,200원 이내 최대 12회 사회 복지 시설 이용 사회복지시설 입소 또는 이용서비스 제공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4인 기준 145만 500원 이내 최대 6회 027 임신·출산지원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