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28페이지 내용 : 장애수당 만 18세 이상의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지 않는 등록장애인 종전36급 중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1. 대상 2. 내용 소득 수준 및 주거형태에 따라 매월 장애수당 지급 구분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보장시설수급자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장애수당 월 4만 원 월 4만 원 월 2만 원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4. 문의 장애수당을 받으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격에서 탈락되나요? 탈락되지 않습니다. 장애인연금, 장애수당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격 책정을 위한 소득산정 시 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소득과 재산에 변동이 없다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격은 유지됩니다. 압류방지전용통장이란 무엇인가요? 장애인연금, 장애 아동 수당 수급자에게 지급된 금품은 압류할 수 없도록 조치한 전용계좌입니다.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에서 수급자확인서를 발급받아 시중은행, 우체국, NH농협은행, 새마을금고 등 참여 금융기관에 신청해 개설할 수 있습니다. 장애정도 재심사를 반드시 받아야 하나요? 장애수당을 신청하는 모든 경증장애인은 장애정도 재심사를 받아야합니다. 다만, 2007년 4월 1일 이후 국민연금공단에서 장애 정도 심사를 받아 현재의 장애 정도를 받은자 또는 신청일이 속한 월 당시 만65세 이상인 자가 장애수당을 신청하는 경우 장애 재심사는 면제됩니다. 자주 하는 질문 3. 방법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에 신청 → 시군구 통합관리팀 조사 → 보장결정 → 급여지급 028 장애인을 위한 복지서비스, 어떤 것이있을까요?

페이지
책갈피 추가

29페이지 내용 : 장애인 거주시설 실비입소 이용료 지원 1. 대상 실비 입소 장애인 거주시설로 지정된 시설에 입소한 장애인 중 저소득층 2. 내용 장애인거주시설 이용료 중 매월 29만 원 지원 3. 방법 시군구청에 신청 → 시군구청에서 해당 시설에 지원 4.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장애인 건강보험료 경감 1. 대상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인 등록장애인 2. 내용 지원내용 상세내용 자동차분 건강보험료 전액 면제 등록장애인 소유 자동차는 건강보험료 산정 시 제외 산출보험료 경감 등록장애인이 있는 세대 중 연 소득이 360만 원 이하 이며 재산이 1억 3,500만 원 이하인 경우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30% 감면 •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20% 감면 장기요양보험료 경감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에 대해 장기요양보험료의 30% 감면 3.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문의 후 신청 4.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연말정산 시 ‘장애인소득공제’를 놓치지 마세요. 본인이나 부양가족 중 장애인이 있다면 나이에 관계없이 기본공제 150만 원, 장애인공제 1인당 200만 원이 추가 공제됩니다. 장애인 특수교육비와 휠체어, 보청기 등의 장애인보조기기는 한도 없이 각각 교육비 공제와 의료비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특히 ‘세법상’ 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뿐 아니라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 국가유공자까지 포함하고 있으니 세제혜택을 꼼꼼히 챙기는 게 중요합니다. 알려드립니다 029 장애인지원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