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34페이지 내용 : 32 2022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노령층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돌봄 26 3. 방법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에 신청서 접수 → 대상자 선정조사 및 서비스 상담 수행기관 → 대상자 결정 시군구 → 서비스제공 수행기관 ※ 특화서비스의 경우 특화서비스 수행기관으로 직접 접수도 가능 4.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1.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조손 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대상자 선정도구*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 * 선정도구 신체·정신·사회참여 영역의 취약요인을 조사하여 대상자 선정 여부, 서비스 제공시간의 범위 등을 산정 2. 내용 안전지원, 사회참여, 생활교육, 일상생활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계획에 따라 직접 또는 연계 제공 ■ 방문형, 통원형 그룹형 프로그램 등 제공형태 다양화 ※ 각 대상자의 돌봄욕구·필요 정도에 따라 제공시간, 서비스 내용 등 지원수준이 다름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직접 서비스 방문·통원 등 안전지원 방문안전지원 안전·안부확인, 정보제공, 생활안전점검, 말벗 정서지원 전화안전지원 안전·안부확인, 정보제공, 말벗 정서지원 ICT안전지원 ICT 관리·교육, ICT 안전·안부확인 사회참여 사회관계향상 프로그램 여가활동, 평생교육활동, 문화활동 자조모임 자조모임 생활교육 신체건강분야 영양교육, 보건교육, 건강교육 정신건강분야 우울예방·인지활동 프로그램 일상생활 지원 이동활동지원 외출동행 가사지원 식사관리, 청소관리 연계서비스 민간후원지원 생활지원연계, 주거개선연계, 건강지원연계, 기타 서비스 특화서비스 개별 맞춤형 사례관리, 집단활동, 우울증 진단 및 투약지원

페이지
책갈피 추가

35페이지 내용 : 33 노인보호 전문기관 이용 돌봄 27 2. 내용 3. 방법 1. 대상 학대피해 어르신 및 그 가족, 학대행위자 24시간 노인학대 상담사업 노인학대예방 교육사업 협력체계 구축사업 홍보사업 전문상담 및 심리치료 지원 일시보호서비스, 의료지원 사회복지서비스, 법률지원 연계 노인학대 예방교육 노인인권 교육 중앙·지역노인 학대사례 판정 위원회 운영 지역사회 연계망 구축 후원, 자원봉사 사업 노인 인식개선 홍보 학술행사, 캠페인 이동상담 카툰 및 사진전시회 노인학대예방의 날 6.15 기념행사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을 통해 지원 ■ 노인보호전문기관 ☎1577-1389 , 수사기관 ☎112 ■ 보건복지부콜센터 ☎129 , 노인학대 신고앱 “나비새김 노인지킴이 ” 4. 문의 어르신 학대의 유형은 어떻게 되나요? ■ 신체적 학대 신체적 손상, 고통, 장애 등을 유발하는 행위 ■ 정서적 학대 비난, 모욕, 위협, 협박 등 정서적 고통을 주는 행위 ■ 성적 학대 성적 수치심 유발행위 및 성폭력 등 강제적 성적 행위 ■ 경제적 학대 어르신의 의사에 반 反 하여 재산 또는 권리를 빼앗는 행위 ■ 방임 어르신의 의식주 및 의료를 적절하게 제공하지 않는 행위 어르신 스스로 최소한의 자기보호를 포기하는 자기방임 포함 ■ 유기 보호자 또는 부양의무자가 어르신을 버리는 행위 어르신 학대 사례를 발견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르신 학대를 알게 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당황하지 말고 학대행위자로 의심되는 사람의 주요정보, 어르신 학대 상황 등 학대와 관련된 정보를 즉시 노인보호전문기관 ☎1577- 1389 , 수사기관 ☎112 , 보건복지부콜센터 ☎129 , 노인학대 신고앱 “나비새김 노인지킴이 ”에 신고하면 됩니다. 신고자의 비밀은 보장됩니다. 알려드립니다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