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30페이지 내용 : 028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8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 비율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수는 2014년과 2016년 5.4%로 가장 낮았으나, 2017년 5.9% 수준으로 오히려 증가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 비율은 약 2% 수준으로, 고시원 등 기타 유형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2017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수 114.1만 가구 2017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268.5 5.9% 212.1 184.0 127.7 99.2 102.7 114.1 16.6 12.7 10.6 7.2 5.4 5.4 0.5%p 증가 5.9 자료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 연도 ▶ 연도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수 및 비율 단위만 가구, % 2010 2005 2010 2015 2016 7,044 12.2 7,044 50,599 21,63022,913 9,073 16,475 14,255 86,385 30,131 11,409 322,591 30,686 6,601 332,214 57,643 53,616 117,115 364,131 369,501 0.40 0.34 0.68 1.91 1.91 2016년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 비율 1.91% 2016년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 수 369,501가구 기타 판잣집, 비닐하우스 호텔, 여관 등 숙박업소의 객실 주1 2000년도의 경우, 호텔, 여관 등 숙박업소의 객실과 기타 2개 항목으로 구성 2 20002010년 자료는 현장조사, 20152016년 자료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결과로 조사방법이 다름. 자료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http//kosis.kr 에서 2017. 11. 27. 인출 ▶ 연도별 주택 이외 거처 가구 비율 및 거처 가구 유형 단위가구, %주거

페이지
책갈피 추가

31페이지 내용 : INFOGRAPHICS 029 장기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율 장기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율은 6.3%로 전년도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임대주택 중 장기공공임대주택 거주 비중은 2013년 이후 감소 8.2 8.1 7.8 8.1 8.2 8.2 8.8 11.5% 9.9 9.1 43.1 40.3 52.7 57.6 61.0 62.6 62.9 55.3% 60.0 62.6 3.2 3.5 4.1 4.6 5.0 5.2 5.5 5.7 5.9 6.3% 임대주택 대비 장기공공임대주택 비중 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율 장기공공 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율 0.4%p 증가 4.7%p 감소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자료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http//kosis.kr 에서 2017. 11. 27. 인출 , 국토교통부, 임대주택통계, 각 연도 ▶ 장기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 비중 20072016 단위% 주택연금대출 보증 건수 주택연금 이용은 20142016년 크게 증가하였으나 2017년 정체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택연금 대출 보증건수는 증가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30,361 41,000 69,006 62,950 6,025 8,633 17,474 55,293 71,392 107,728 106,969억 원 515 695 1,124 2,016 2,936 5,013 5,296 5,039 6,486 10,309 10,386건 주택연금대출 보증공급액 주택연금 대출 보증 건수 주보증공급액은 가입자에게 100세까지 공급될 예상보증공급액 월지급금 + 개별인출금 + 대출이자 + 보증료 임. 자료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리서치, 각 연도 ▶ 주택연금 보증 건수 및 보증공급액 20072017 단위건, 억 원 INFOGRAPHICS2018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