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52페이지 내용 : 1.가족 세부영역 대표지표 연관지표 다양한 가족 1인가구 노인가구 한부모가구 다문화가구 북한이탈주민 가족과 일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자 수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 가정관리 및 가족·가구원 돌봄 가족 갈등 가정폭력 발생률 및 신고율 조이혼율 조혼인율 외국인과의 이혼 건수 가족지원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 수 및 이용액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제공기관 및 제공인력 수 가사간병방문사업 이용자 수 및 이용액 언어발달 지원사업 이용자 수 및 이용액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이용자 수 및 이용액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지원사업 이용자 수 및이용액

페이지
책갈피 추가

53페이지 내용 : 우리사회의 가치관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결혼과 자녀에 관한 가치관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와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결혼과 자녀 출산은 감소하고 있다. 만혼과 비혼의 증가, 출생아 수의 감소 등으로 인해 가족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가족과 가구 변화의 특징을 요약한다면 소가족화와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규모의 축소와 가족 형태의 다양화이다. 이러한 가족의 변화는 전통적으로 가족이 담당하고 있던 돌봄의 기능을 약화시켜 자녀 양육과 부양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분야에서는 변화하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가족을 보여줄 수 있는 1인가구, 노인가구, 한부모가구, 다문화가구 등과 관련된 영역의 지표를 살펴보고 또한 가족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조혼인율 및 조이혼율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족의 주된 기능인 돌봄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의 포괄적인 가족 구성원 돌봄과 관련이 있는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과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이용자수 및 이용액 등의 지표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자녀 돌봄과 관련이 있는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사업 이용자 수 및 이용액,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자 수,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 등과 같은 지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 돌봄과 관련하여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 수 및 이용액,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제공기관 및 제공인력수, 가사간병방문사업 이용자 수 및 이용액과 같은 자료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구 관련해서는 1인가구가 2017년 5,619천 가구로 2016년에 비해 22만 가구 정도 증가하였으며 전체 가구 중 28.6%를 차지하고 있다. 노인인구는 2017년 7,115천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4.2%가 되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한부모가구는 2017년 2,127천 가구로 2016년에 비해 3만7천가구 정도 증가하였으나, 정책의 대상이 되는 저소득한부모가족 등은 약간 감소하는 추세이다. 다문화가구는 2017년 319천 가구로 2016년에 비해 3천 가구 정도 증가하였다. 자녀 돌봄 관련 주요 제도에 대한 수급자 추이를 살펴보면,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자 수와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 수는 2017년 각각 81,710명과 90,122명으로 나타났으며,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자 수는 최근 출생아수 감소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으나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남성의 육아휴직 증가에 따라 증가 추이를 아직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인 가정관리와 가족 및 가구원 돌봄에 있어서는 기혼여성이 기혼남성에 비해 행위자 비율도 높고 시간도 절대적으로 많으나 남성은 가정관리와 가족 및 가구원 돌봄 행위자 비율과 시간이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반면 여성은 대체로 감소하고 있다. 가족 내 문제행위인 가정폭력에 대해서는 2016년 발생률이 41.5%로 나타났으나 경찰신고율은 3% 미만으로 매우 낮다. 가족해체 관련 지표인 조이혼율의 경우 2017년 인구 천명 당 2.1건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Highlight

탐 색